가늠할 수 없는 피해를 안기고도 여전히 진행 중인 산불. <br /> <br />헬기와 진화 인력이 부족해 발을 동동 구르는 곳이 많았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이런 문제는 2년 전 산림청이 발간한 산불백서에서 이미 지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산림청이 보유한 산불 진화 헬기는 50대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산불에는 정비 등의 문제로 30~35대만 투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마저도 물을 5천 리터 이상 실을 수 있는 초대형 헬기는 7대뿐이고, <br /> <br />대부분 담수량이 3천 리터 이하인 중소형이라서 진화에 속도가 나지 않았는데요. <br /> <br />게다가 헬기의 3분의 2는 도입한 지 20년이 넘을 정도로 노후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그제 진화 작업을 하다가 추락한 헬기도 30년이 넘은 노후 기종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헬기 노후화는 해마다 국정감사 때마다 제기되는 고질적인 문제인데요, <br /> <br />2년 전 산림당국이 발간한 산불백서도 문제로 지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당국은 이상기온과 가뭄 등으로 산불이 잦아지고 커졌다며 담수량 5천L 이상 대형 헬기를 확충해야 한다고 언급했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12개 산림항공권역당 최소 대형 헬기를 2대 이상 확충해야 한다고 구체적으로 지적했는데, <br /> <br />2년이 지나도록 중형 헬기인 수리온 2대가 늘어나는 데 그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진화 인력 부족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산불 진화의 핵심 인력은 산불 최전방에 투입되는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인데요. <br /> <br />2년 전 기준 특수인력은 특수진화대 435명, 공중진화대 104명 등 모두 539명인데, <br /> <br />산림당국은 험준한 지형이나 야간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2027년까지 2,500명으로 확대 배치하겠다고 백서에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현재 특수인력은 2년 전과 정확히 같은 숫자로 한 명도 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죠. <br /> <br />이번 산불을 진화하는 과정에서 진화 인력의 인명피해도 많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수 장비와 인력의 공백을 전문성이 부족한 장비와 인력으로 메우려다 사상자가 나왔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산불에 취약한 기후가 일상이 된 만큼 산불 방재 시스템을 재점검할 때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32808124217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